카테고리 없음

마케팅 용어 25가지 알아보기 [단어, 뜻] 1탄

그루브애드 홍팀장 2023. 6. 23. 16:00

안녕하세요 온라인마케팅 전문기업

그루브애드 홍팀장입니다.

 

오늘은 작성만 하면 인기게시글이 되는

마케팅 용어 1탄으로 25가지 단어와 뜻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마케터분들과 마케팅 용어를 공부하시는 분들께서는

모두 집중하셔서 봐주시길 바랍니다.

 

 

1. 트래킹 [Tracking]

앱 트래킹 툴을 사용하여 유저의 행동을 추적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뜻합니다.

 

웹사이트의 경우 사이트 방문기록과 검색어와 앱의 경우 앱 설치률, 행동경로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추적하여 수집하는 것을 말하며

개인화 마케팅, 리타겟팅은 모두 트래킹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2. 유저 [User]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또는 단말기를 뜻합니다.

 

사용자 또는 이용자라고 불리며 유저 유입 캠페인인 UA성과의 기준이 됩니다.

크게 광고유입으로 유입된 논오가닉 유저와 직접 검색으로 들어온 오가닉 유저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코호트 [Cohort]

공통된 특성이나 경험을 갖는 유저 집단을 뜻합니다.

 

쉽게 말하면 조건에 따라 유저를 군집화한 것을 코호트라고 말하며,

코호트 분석은 집단별로 성과수치를 분석하는 기법이고

예를들면 2021년에 앱을 다운로드한 유저들의 구매율과

2022년의 구매율을 비교하며 기간에 따른 인사이트를 발골합니다.

 

4. 마케팅 퍼널 [Funnel]

유저 경로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유저가 유입되고 전환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단계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며,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저 경로를 탐색하면서, 중간중간 떨어지는 이탈고객이 어느 단계에서 떨어지는지

파악하여 고객유치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유저가 상품 구매로까지 장바구니에 추가, 결제 페이지 접속 등 여러 단계를 거친다면,

수치가 낮은 경로를 파악하여 페이지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5. 딥링크 [Deep Link]

유저들이 어플의 특정 위치에 랜딩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뜻합니다.

 

URL을 클릭했을 때 앱 설치를 하지 않아도 해당 앱의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입니다.앱 링크는 모바일 딥링크가 작동하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 표준으로 사용자가 앱 내부 콘텐츠에 직접 도달하도록 합니다.

 

 

6.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모음을 뜻합니다.

 

개발자를 위해 제공하는 도구를 말하며, 앱마케팅 시장에서는 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도구를 칭하는 단어입니다.

운영체제별 sdk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7. 이벤트 [Event]

앱 내에서 유저가 수행하는 행동을 뜻합니다.

 

서비스내에서 상품 구매 행동이나 좋아요 클릭, 댓글 달기 등 유저가 수행하는 다양한 행동을 이벤트라고 칭합니다.

 

8. 이벤트 트래킹 [Event Tracking]

앱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유저의 행동을 추적한다는 의미로 이벤트 트래킹을 통해 유저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앱의 성능을 평가하여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9. 컨버전 [Conversion]

설정한 목표를 유저가 달성하는 것을 뜻합니다.

 

마케팅 캠페인의 결과로서 "전환"과 같은 개념입니다. 기존에 설정한 기대행동을 유저가 얼만큼 완료했는지를 판단합니다.

앱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목표, 유저가 실제로 상품을 구매하면 컨버전이 발생한 것 입니다.

 

10. 포스트백 [Postback]

고객에 의해 발생한 광고 성과데이터를 매체사에게 공유하는 것을 뜻합니다.

 

웹사이트, 네트워크 또는 앱에서의 유저 행동을 보고하기 위해서 서버간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말하며,

인스톨, 인앱 이벤트 등의 데이터를 트래킹 툴에서 전송하면 매체사는 이 정보를 가지고 광고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11. 유입 경로 [Referral Source]

모바일 환경에서 유저가 앱으로 들어온 경로를 뜻합니다.

 

유저가 특정 서비스나 페이지에 방문하게 된 경로를 분석하여 마케팅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에서 앱을 검색한 경우, 유입 경로는 오가닉 서치가 되며 이처럼 자연 유입이 되었거나

집행한 광고 중 어떤것이 유저를 유입되게 만들었는지를 분석합니다.

 

12. 속성 [Attribute]

앱의 특정 요소를 나타내는 값을 뜻합니다.

 

유저의 성별과 나이, 지역 등이 속성이 될 수 있으며, 속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저의 특성이나 행동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3. 어트리뷰선 [Attribution]

유입 성과 분석

 

어떤 결과의 원인을 찾는 과정을 말하며 어떤 광고 매체로 인해 광고 성과가 도출되었는지를 찾는 것을 말합니다.

 

14. 애널리틱스 [Analytics]

유저 행동 분석

 

어트리뷰션은 외부의 트래픽 소스를 식별하는데 중점을 두지만 애널리틱스는 앱 내부에서 활동하는

유저의 행동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15. 세션 [Session]

앱에서 시작부터 종료까지 유저가 발생시킨 일련의 활동을 뜻합니다.

 

유저가 앱을 들어와서 이탈하기까지를 말하며 '방문수'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저가 앱을 오픈한 후 30분간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았을 때 이탈했다고 정의하며

이 경우 세션1이 카운트됩니다. 세션이 많다는 것은 서비스내에 조회할 콘텐츠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16. 체류시간

유저가 특정 서비스에 접속하여 머물다가 떠날 때 까지의 시간을 뜻합니다.

 

앱이나 웹페이지 콘텐츠를 파악하고 상호작용한데에 걸리는 시간입니다.

체류시간이 너무 짧다면 해당 서비스에서 고객에게 유의미한 이득을 주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객의 관심도를 가늠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17. 페이지 뷰 [Page View]

앱 내에서 특정 페이지나 화면이 유저에게 표시된 횟수를 뜻합니다.

 

얼마나 많은 이용자들이 방문하는지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척도이기도 하나 그것을 방문자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들어 한 사람이 상품 조회 페이지를 7번 넘게 보았다면 페이지 뷰는 7로 책정됩니다.

 

18. DAU [Daily Active Users]

일일 활성 유저 수

 

00시~당일 23시59초까지 동일한 고유식별자를 1로 카운트하여 책정합니다.

매일 유입이 중요한 게임이나 메신저 등의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성과척도로 활용하며,

어제 총 1만명이 앱을 열어 사용했다면 DAU는 1만명입니다.

 

19. WAU [Weekly Active Users]

주간 활성 유저 수

 

일요일 00시~토요일 23시59초까지 동일한 고유식별자를 1로 카운트하여 책정합니다.

장기적 사이클 분석에 용이합니다.

 

20. MAU [Monthly Active Users]

월간 활성 유저 수

 

1일 00시~말일 23시59초까지 동일한 고유식별자를 1로 카운트하여 책정합니다.

지난 1달간 앱을 사용한 유니크한 유저수가 10만명이면, MAU는 10만명 입니다.

 

21. ARPDAU [Average Revenue Per Daily Active User]

일일 평균 수익

 

총 결제금액/DAU로 계산하며, 일일 활동 사용자를 대상으로 얼마나 수익이 잘 나가고 있는지 확인할 때 활용됩니다.

어제 총 매출이 1천만원이고, DAU가 1만명이였다면 ARPAU는 1000만/1만 = 1000원입니다.

 

22.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결제 유저 당 평균 결제 금액

 

총 결제금액/결제유저수로 계산하며 결제 금액에 따른 평균 수익에 한계가 없는 비즈니스 일 때

많이 확인되는 지표입니다. 예를들어 구독 서비스로 정액제를 납부하는 서비스와 달리,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이커머스 비즈니스 일 때 고객들의 구매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3.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유저 당 평균 수익

 

총 결제금액/총 유저수로 계산하며, 앱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간단한 지표입니다.

1개월동안 1000만원의 매출이 발생하고, 이 때 앱을 이용한 유니크한 유저수가 1만명이였다면,

ARPU는 1000만/1만 = 1000원입니다.

 

24. LTV [Lifetime Value]

유저 1명당 서비스에서 이탈하기 전까지 지불하는 금액 또는

앱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유저당 기대수익을 뜻합니다.

 

ARPU*(1/1-retention rate)로 계산하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생애동안 얼마나 많은 가치를 가져올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마케팅 예산에 대한 의사결정을 도우며 고가치 유저들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합니다.

 

25. 고착도 [Stickiness]

웹사이트나 앱 등 디지털 콘텐츠가 유저에게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DAU/MAU*100로 계산합니다. 유저의 앱 재사용률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재방문 정도를 관리해 활성화, 충성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유저가 해당 웹사이트나 앱에서 머무르는 시간과 그들이 활동한 페이지, 컨텐츠가 얼마나

유저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느냐를 참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25가지의 마케팅 용어 1탄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 포스팅은 마케팅 용어 2탄으로 돌아올테니

2탄까지 많관부 드립니다!!! 

마케팅 용어 단어와 뜻 함께 공부해요~!

 

감사합니다.